주식 시장에서 AFS는 Available-for-Sale의 약자로 사용되는데, 이는 회사가 보유한 주식 중에서 일부를 판매할 의도가 없거나 급하지 않은 상황에서 장기 보유할 주식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 A가 기업 B의 1,000주의 주식을 AFS로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현재 이 주식의 시장 가격은 10,000원입니다. 기업 A는 이 주식을 매각하지 않고 보유하고자 하기 때문에, 이 주식을 장기적으로 자산으로 취급하고 AFS로 분류합니다.
다음 분기에 이 주식의 시장 가격이 12,000원으로 상승하면, 기업 A는 이 주식을 매각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시장 가격이 8,000원으로 하락하면, 이 자산의 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에 기업 A는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AFS는 자산의 가치 변동성에 따라 이익 또는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식에서의 보유 형태입니다.
AFS(Available-for-Sale)의 특징
AFS 주식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언제든지 매각이 가능합니다.
AFS 주식은 언제든지 매각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기업이 급전이 필요한 경우, AFS 주식을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2. 회계상의 적정가치로 평가됩니다.
AFS 주식은 매출액과 달리 장기 보유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업은 회계상의 적정가치로 AFS 주식을 평가합니다. 이 때문에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장기 보유를 목적으로 합니다.
AFS 주식은 기업이 장기적인 투자를 계획할 때 매수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장기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AFS(Available-for-Sale)와 HTM(Held-to-Maturity)의 차이점
AFS 주식은 회사가 보유한 일부 주식을 장기 보유하는 것이며, 매각 가능한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HTM 주식은 투자의 목적으로 보유하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즉, AFS 주식은 기업이 일부 자산을 장기 보유하고 매각 가능한 자산으로 분류하는 반면, HTM 주식은 투자의 목적으로 보유하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마무리
주식 시장에서 AFS 주식은 기업이 일부 주식을 장기 보유하며 매출액과 달리 회계상의 적정가치로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장기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FS 주식을 장기 보유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현금 유동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여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 (ecopro) 주가 상승 배경 (1) | 2023.03.30 |
---|---|
도이치 뱅크와 AT1채권(코코본드), 파산 가능성 (1) | 2023.03.26 |
테슬라의 48V 전환의 의미 (0) | 2023.03.16 |
테슬라 2023년 3월 가격 인하 배경 (0) | 2023.03.14 |
SVB 급락한 이유와 여파 (0)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