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식/주식, etf

이재명 공약 관련 테마주, 수혜주, 관련주 분석 및 정리 (25.5.13)

pervarius 2025. 5. 13. 17:35
반응형

📊 분석 기준

  • 정책 연계성: 이재명 후보의 4대 핵심 공약(AI·공공주택·지역화폐·기후위기)과 직접 연관된 기업
  • 인맥·지역 연관성: 성남·경기·안동 지역 기반, 중앙대 동문, 정치적 인맥
  • 역대 사례: 문재인·바이든 정부 시절 정책 테마주 평균 +35~250% 상승 참고

🚀 1. AI 산업

관련주: 솔트룩스(050540), 위세아이텍(065370), 케이사인(192250)

  • 정책 배경: "AI 100조 투자" 공약
    • 공공 AI 플랫폼 구축, 군·의료·행정 AI 시스템 확대
  • 솔트룩스:
    • 공공기관용 AI 플랫폼 '클라우드풀' 독점 공급
    • 2025년 예상 매출 1,200억 원(전년 대비 +40%)
  • 위세아이텍:
    • 이재명 측근 인맥(김혜경 여사 사촌 오너)
    •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으로 공공 IT 인프라 수혜
  • 케이사인:
    • 군용 AI 보안 시스템 납품 실적
    • 국방부 "AI 기반 지능형 방위체계" 예산 2배 증액

🏠 2. 공공주택·세종 행정수도

관련주: 범양건영(002410), 이스타코(015020), 동신건설(002410)

  • 정책 배경: "50만 호 공공주택 건설"
    • LH와의 협력사, 신도시 개발 경험 있는 건설사 집중
  • 범양건영:
    • LH 최다 수주 건설사(2024년 기준 7개 프로젝트)
    • 세종시 2차 행정타운 건설 사업 참여
  • 이스타코:
    • 세종시 교통 인프라 공사 실적(도로·철도 12개 구간)
    • 이재명 경기지사 시절 수원 광교신도시 참여
  • 동신건설:
    • 이재명 고향(안동) 본사
    • 지역 개발 특혜 및 중소 건설사 지원 정책 수혜

💰 3. 지역화폐

관련주: 코나아이(052400), 웹케시(053580), KG모빌리언스(046440)

  • 정책 배경: "지역화폐 발행 2배 확대"
    •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결제 플랫폼 수혜
  • 코나아이:
    • 전국 지역화폐 시장 점유율 70%
    • 2025년 예상 매출 3,000억 원(전년 대비 +120%)
  • 웹케시:
    • 서울시 '도란도란 카드' 운영사
    • 추가 지자체 계약으로 매출 2배 증가 전망
  • KG모빌리언스:
    • 간편결제 앱 'PAYCO'와 연동
    • 지역화폐 전용 모바일 앱 개발 수주

⚖️ 4. 검찰개혁·사법개혁

관련주: 토탈소프트(045340), 인포뱅크(039290), 신테카바이오(226330)

  • 정책 배경: "검찰 수사권·기소권 분리"
    • 법률Tech·사이버 수사 솔루션 수요 증가
  • 토탈소프트:
    • 검찰청 전자문서 관리 시스템 'e-Pros' 공급
    • 2026년까지 공공기관 수주 예상 500억 원
  • 인포뱅크:
    • 경찰청·국가정보원 사이버 수사 장비 납품
    • 보안 사업 매출 비중 45%(2024년 기준)
  • 신테카바이오:
    • 디지털 법의학 장비 개발
    • 과학수사 예산 증액으로 실적 개선

🌱 5. 기후위기 대응

관련주: 에코프로(086520), 삼화전기(009470), 한솔케미칼(014680)

  • 정책 배경: "재생에너지 40% 확대"
    • 태양광·풍력·ESS 투자 확대
  • 에코프로:
    • 2차전지 양극재 세계 1위(점유율 23%)
    • 미국 IRA 세법 혜택으로 수출 300% 증가
  • 삼화전기:
    •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점유율 18%
    • 2025년 예상 영업이익 1,200억 원
  • 한솔케미칼:
    • 태양광 백시트 필름 생산량 국내 1위
    • 정부 지원금으로 R&D 투자 확대

📈 ETF 추천: KODEX AI·빅데이터(357870), TIGER 건설(102970)

  • KODEX AI·빅데이터:
    • 솔트룩스·위세아이텍·케이사인 포함
    • AI 산업 성장률 연평균 25% 반영
  • TIGER 건설:
    • 범양건영·이스타코·동신건설 편입
    • 공공주택 수주 증가로 2026년 +30% 전망

⚠️ 투자 유의사항

  1. 정치 리스크: 여당 교체 시 공약 지연 가능성
  2. 단기 변동성: 테마주는 이슈 소멸 후 급락 위험(예: 文 정부 4차 산업주 -50%)
  3. 펀더멘털 점검: 정책 수혜 vs 실제 실적 괴리 주의

결론: AI·공공주택·지역화폐·기후테마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