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 관세와 부품세로 수혜를 입을 ETF 및 주식 소개 (feat. 과거 관세 전쟁 사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25% 자동차 관세와 외국산 자동차 부품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산업 전반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ETF와 주식을 소개하고, 과거 관세 전쟁 사례를 통해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1. 관세 부과 배경 및 전망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부터 자동차 산업에 대한 관세 부과를 주장해 왔으며, 최근에는 "너무 많은 예외를 두고 싶지 않다"라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4월 2일(현지시간) 발표될 예정인 새로운 관세 정책은 자동차 및 부품 수입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부가가치세나 환율 조작과 같은 비관세 장벽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핵심: 4월 2일 발표될 자동차 관세는 25% 수준으로 예상되지만, 최종 결정까지 불확실성이 남아있음.
2. 수혜 예상 ETF
CARZ (First Trust S-Network Future Vehicles & Technology ETF)
- CARZ: 전 세계 자동차 제조업체와 기술 공급업체에 투자하는 ETF. 테슬라(TSLA), 도요타(TM), 포드(F), GM(GM) 등 주요 기업 포트폴리오 구성.
- 장점:
- 전기차(EV) 및 미래형 차량 기술에 집중
- 글로벌 시장 다변화로 특정 국가 관세 영향 최소화
- 수수료: 0.7%
- 추천 이유: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이 유리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CARZ는 이런 기업에 대한 노출도가 높음
FTXR (First Trust Nasdaq Transportation ETF)
- FTXR: 운송 산업 전반에 투자하며, 테슬라(TSLA), GM(GM), 포드(F) 등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 포함
- 장점:
-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에 초점
- 관세로 인해 해외 생산 의존도가 낮은 기업이 상대적으로 유리
- 수수료: 0.6%
- 추천 이유: 미국 내 제조업체가 관세 부담을 덜 받으며 경쟁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음
3. 수혜 예상 개별 종목
Tesla (TSLA)
- 특징: 대부분 차량을 미국에서 생산하며, 일부 부품만 수입
- 관세 영향: 트럼프 대통령은 테슬라가 관세 정책에서 중립적이거나 유리할 수 있다고 언급
- 추천 이유: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가능성이 큼
General Motors (GM)
- 특징: 디트로이트를 중심으로 미국 내 생산 기반이 강력
- 관세 영향: 국내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쟁력 강화 가능성
- 추천 이유: 안정적인 공급망과 국내 생산 기반으로 관세 정책 수혜 기대
AutoNation (AN)
- 특징: 중고차 판매 및 서비스 부문에서 수익 창출
- 관세 영향: 신차 가격 상승으로 중고차 시장 활성화 가능성
- 추천 이유: 관세로 신차 구매가 감소하면 중고차 시장과 부품 서비스 매출 증가 예상
과거 관세 전쟁 당시 수혜주:
- 과거 관세전쟁 당시에는 미국 내수 기업들이 수혜를 입었습니다. 특히 철강, 알루미늄 등 기초소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자동차 부품사 중에서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유리했습니다.
- 과거 트럼프 정부가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을 때, 미국 내 철강 업체 U.S. Steel (X)의 주가가 급등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수혜 예상 부품사:
- Dorman Products (DORM): 자동차 수리용 대체 부품 1위 기업으로, 수입 부품 가격 상승 시 대체 수요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Modine Manufacturing (MOD): 전기차 배터리 냉각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테슬라, GM 등에 열관리 모듈을 공급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기대됩니다.
- LKQ Corp (LKQ): 재제조 부품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관세 대체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4. 투자 전략
-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 테슬라(TSLA), GM(GM) 등
- 중고차 및 서비스 시장: AutoNation (AN)
- 부품 국산화 및 대체 부품: Dorman Products (DORM), Modine Manufacturing (MOD), LKQ Corp (LKQ)
주의사항: 관세 정책 변동 가능성에 유의하며 분산 투자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합니다.
5. 결론
미국 자동차 관세 부과 가능성은 관련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이나 대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을 잘 세우고 리스크를 관리한다면 관세 부과 상황에서도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면책공고: 이 글은 투자 자문이 아니며,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반응형
'경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산불 화재 복구 수혜주 (과거사례) (0) | 2025.03.28 |
---|---|
현대차 미국 투자 인프라, 부품 수혜주, 관련주 (0) | 2025.03.28 |
시중은행 금 통장, 금뱅킹, 예금 금투자 방법, 비교 (0) | 2025.03.17 |
금 투자, 금 예금, 금 코인 투자 방법, 이율 비교 (0) | 2025.03.17 |
금 2배, 3배 레버리지 etf (0) | 2025.03.17 |